-
O - [ 구현 ] 게임 개발 - R알고리즘/이코테 - 실전 2021. 10. 7. 19:24
난이도 : 중 풀이시간 : 40/33 시간제한 : 1초
[ 구현 ] 게임 개발
현민이는 게임 캐릭터가 맵 안에서 움직이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. 캐릭터가 있는 장소는 1 x 1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N x 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, 각각의 칸은 육지 또는 바다이다. 캐릭터는 동서남북 중 한 곳을 바라본다.
맵의 각 칸은 (A, B)로 나타낼 수 있고, A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, B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. 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, 바다로 되어 있는 공간에는 갈 수 없다. 캐릭터의 움직임을 설정하기 위해 정해 놓은 매뉴얼은 이러하다.
-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(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)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.
-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왼쪽으로 한 칸을 전진한다. 왼쪽 방향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만 수행하고 1단계로 돌아간다.
- 만약 네 방향 모두 이미 가본 칸이거나 바다로 되어 있는 칸인 경우에는,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뒤로 가고 1단계로 돌아간다. 단, 이때 뒤쪽 방향이 바다인 칸이라 뒤로 갈 수 없는 경우에는 움직임을 멈춘다.
현민이는 위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캐릭터의 움직임에 이상이 있는지 테스트하려고 한다. 매뉴얼에 따라 캐릭터를 이동시킨 뒤에,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드시오.
:: 입력 조건
첫째 줄에 맵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한다. (N >= 3, M <= 50 )
둘째 줄에 게임 캐릭터가 있는 칸의 좌표 (A, B)와 바라보는 방향 d가 각각 서로 공백으로 구분하여 주어진다. 방향 d의 값은 다음과 같다.
0: 북쪽
1: 동쪽
2: 남쪽
3: 서쪽
셋째 줄부터 맵이 육지인지 바다인지 입력한다. N개의 줄에 맵의 상태가 북쪽부터 남쪽 순서대로, 각 줄의 데이터는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. 맵의 외곽은 항상 바다로 되어 있다.
0: 육지
1: 바다
처음에 게임 캐릭터가 위치한 칸의 상태는 항상 육지이다.
:: 출력 조건
첫째 줄에 이동을 마친 후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한다.
아이디어
미리 방향벡터를 저장해둠 (북 동 남 서)
1. n, m // a, b, d 입력 받음
2. 2차원 배열[51][51] 하나 만들어서 2중반복문으로 지형값 입력받음
3. 처음 시작한 칸을 방문 처리
4. 시작한 칸도 방문횟수에 포함이기 때문에 카운트 할 변수를 1로 초기화함
5. 새로운 위치와 방향을 저장할 변수를 준비
6. 더이상 움직일 수 없을 때까지 반복문을 돌아야 하기 때문에 while
while
왼쪽으로 돌기
그 방향으로 한 칸 앞으로 갈 수 있는지 체크
i ) 갈 수 있으면, 좌표랑 방향을 업데이트하고 카운트 + 1, 만약 갈 수 없는 칸 카운트가 있었다면 이를 0으로 초기화 해줌
ii ) 갈 수 없으면, 방향만 업데이트 하고 갈 수 없는 칸 카운트 + 1, 만약 갈 수 없는 칸 카운트가 4 이상이라면
- 업데이트 한 방향으로 한 칸 뒤로 갈 수 있는 지 체크
1 ) 갈 수 있다면, 좌표를 업데이트 하고 갈 수 없는 칸 카운트를 0으로 초기화
2 ) 갈 수 없다면, 반복문을 끝내고 결과를 출력함
내 코드
#include <iostream> #include <vector> #include <algorithm> #include <queue> #include <string> using namespace std; int map[51][51]; pair<int, int> dir[] = { {-1,0}, {0,1}, {1,0}, {0,-1} }; int main() { int n, m; int a, b, d; cin >> n >> m; cin >> a >> b >> d;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 for (int j = 0; j < m; j++) { cin >> map[i][j]; } } map[a][b] = 2; // 시작칸 방문 처리 int cnt = 1; int new_a = a; int new_b = b; int new_d = d; int no_cnt = 0; while (1) { int direc = new_d - 1; if (direc < 0) { direc = 3; } // 왼쪽으로 돌기 int a_ = new_a + dir[direc].first; int b_ = new_b + dir[direc].second; // 현재 바라보는 방향 기준 왼쪽 칸 if (map[a_][b_] == 0) { new_a = a_; new_b = b_; new_d = direc; map[a_][b_] = 2; cnt++; no_cnt = 0; } else { new_d = direc; no_cnt++; if (no_cnt >= 4) { // 4면이 모두 0이 아닐 때 if (map[new_a - dir[new_d].first][new_b - dir[new_d].second] == 1) { break; } else { new_a -= dir[new_d].first; new_b -= dir[new_d].second; no_cnt = 0; } } } } printf("%d\n", cnt); return 0; }
정답 코드
#include <bits/stdc++.h> using namespace std; int n, m, x, y, direction; // 방문한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맵을 생성하여 0으로 초기화 int d[50][50]; // 전체 맵 정보 int arr[50][50]; // 북, 동, 남, 서 방향 정의 int dx[] = {-1, 0, 1, 0}; int dy[] = {0, 1, 0, -1}; // 왼쪽으로 회전 void turn_left() { direction -= 1; if (direction == -1) direction = 3; } int main(void) { // N, M을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입력받기 cin >> n >> m; // 현재 캐릭터의 X 좌표, Y 좌표, 방향을 입력받기 cin >> x >> y >> direction; d[x][y] = 1; // 현재 좌표 방문 처리 // 전체 맵 정보를 입력 받기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 for (int j = 0; j < m; j++) { int x; cin >> x; arr[i][j] = x; } } // 시뮬레이션 시작 int cnt = 1; int turn_time = 0; while (true) { // 왼쪽으로 회전 turn_left(); int nx = x + dx[direction]; int ny = y + dy[direction]; // 회전한 이후 정면에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 if (d[nx][ny] == 0 && arr[nx][ny] == 0) { d[nx][ny] = 1; x = nx; y = ny; cnt += 1; turn_time = 0; continue; } // 회전한 이후 정면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거나 바다인 경우 else turn_time += 1; // 네 방향 모두 갈 수 없는 경우 if (turn_time == 4) { nx = x - dx[direction]; ny = y - dy[direction]; // 뒤로 갈 수 있다면 이동하기 if (arr[nx][ny] == 0) { x = nx; y = ny; } // 뒤가 바다로 막혀있는 경우 else break; turn_time = 0; } } cout << cnt << '\n'; }
리뷰
코드 자체는 비슷한데
네 방향 모두 가본 칸이거나 바다인 경우에
뒤로 갈 때 갈 수 없는 칸 카운트를 초기화 하는 걸 빼먹었음
그리고 테스트 케이스가 하나 뿐이라서 다른 거 하나 더 해봤는데 아직도 좀 의심스러움
'알고리즘 > 이코테 - 실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 - [ 구현 ] 왕실의 나이트 - R (0) 2021.10.07 △ - [ 그리디 ] 1이 될 때까지 - R (0) 2021.10.05 O - [ 그리디 ] 숫자 카드 게임 - R (0) 2021.10.05 O - [ 그리디 ] 큰 수의 법칙 - R (0) 2021.10.05 [ 최단거리 ] 미래도시 (0) 2021.09.27